친노 기관장들의 올바른 처신
[사설]親盧 기관장들 괜한 政爭 만들지 말라 | |||||||||||||
그럼에도 정부 산하 기관 중에는 짧게는 몇 개월에서 길게는 3년 가까이 남은 임기를 끝까지 고수하겠다는 기관장이 줄잡아 100명이 넘는다고 한다. 새 정부 들어서고 자진해서 물러난 사람이 하나도 없다는 것이다. 보통 염치가 없는 게 아니다. 상식적인 사람들 같으면 바뀐 세상에 맞춰 자신의 거취를 결단하는 것이 순리다. 자기가 떠받든 진보좌파 정부와 정반대의 보수우파 정부가 들어선 만큼 자신의 신념과 철학에 맞는 처신을 하는 것이 도리인 것이다. 최소한 새 정부의 재신임 여부를 묻는 의사표시라도 해야 마땅한 것이다. 그런데도 하나같이 막무가내로 안 나가겠다고 집단저항을 하고 있다.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에 이어 유인촌 문화체육부 장관,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이 ‘친노 코드인사’ 자진사퇴를 요구해도 콧방귀를 뀌고 있는 것이다. 노동부가 13일 대통령 업무보고 자리에 산하 기관장들을 전부 불참시키고, 문화체육부 또한 14일 업무보고에서 오지철 한국관광공사 사장, 정순균 한국방송광고공사 사장을 빼버리는 공개 면박을 줘도 소용이 없다. 어제도 유 장관이 재차 자진사퇴를 촉구했으나 ‘친노 문화 기관장들’은 “못나간다”고 바로 거부했다. 사정이 이렇게 돌아가니 특별감사, 사정 같은 강압수단을 동원해 자퇴 분위기로 몰아가겠다는 얘기들이 정부 한쪽에서 나오는 모양이다. 자칫 ‘친노 기관장’ 문제가 괜한 정쟁거리를 만들어 풍파를 일으키지나 않을까 걱정이다. 그러잖아도 통합민주당이 정부조직 축소를 훼방하는 바람에 갈 길 바쁜 새 정부가 절룩거리는 판이다. 과거 정권의 장관을 꾸어다 국무위원 머릿수를 채우는 나라가 도대체 어디에 있는가. 이전 정권 기관장들은 협조해야 한다. 그동안 ‘친노 코드’ 덕에 잘 지냈다는 생각 하나만으로도 선뜻 자리를 비켜주는 게 옳다. 공연히 새 정부의 발목을 잡는다는 비난을 덮어쓰고 밀려나는 상황은 누구에게도 이롭지 않다. 더 버텨 무슨 영화를 보겠다는 건가. Copyrights ⓒ 1995-, 매일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