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이야기
서문시장 이전 100년
이정웅
2023. 2. 7. 07:05
올해(2023)는 동산동 일대에 있던 큰 장이 대신동으로 옮겨 온 지 100년이 되는 해다. 1920년. 비산동 일대의 고분을 발굴하면서 나온 흙으로 천황당못(天皇堂, 천왕당(天王堂)못이라고 하는 자료도 있으나 대구시의 공식 자료에 천황당못이라고 하여 그대로 인용했다)를 메우기 시작하여 1923년 3월 31일 축하연을 열고 4월 1일 개장하였다고 한다.
조선 시대, 충청도 강경, 평안도 평양과 더불어 우리니라 3대 시장의 한 곳이자 다양한 생필품을 값싸게 공급하여 시민들의 삶을 윤택하게 하고, 대구의 주종산업인 섬유산업 발달에도 크게 이바지한 시장의 기능 이외 국채보상운동 대구군민대회가 열렸고, 일제의 삼엄한 감시 속에서 3.1만세운동이 전개되는 등 애국 운동의 산실이기도 했고 특히, 보수 심장으로 불리며 최근까지도 유력 정치인들이 자주 찾아오는 한국 정치의 성지(?)이기도 하다.
이런 대구시민의 자존심을 대구시는 관심을 가지지 않는 가운데 대구교육박물관은 주제를 “대구 큰 장, 서문시장”, 부제를 “장터에 담긴 100 역사”라는 슬로건으로 기획전을 열고, DGB대구은행의 사외보 계간 『향토와 문화』 2022년 가을호 전면에 “서문시장 이전 100년”이라는 제호로 자세히 소개했다. 이 전시회와 특집을 통해 대구 경제에 크게 이바지하고 시민들의 애환이 깃든 서문시장을 보다 자세하게 알 수 있게 했다.
그러나 『향토와 문화』와 대구교육박물관의 전시자료에 놓친 부분이 있어 이야기를 덧붙여 보기로 한다.
천황당못 = 남소(南沼)
조선 초기 대구가 배출한 걸출한 문신(文臣) 사가(四佳) 서거정(徐居正, 1420~1488)은 재임 중 세종으로부터 시작해 성종에 이르기까지 모두 여섯 임금을 모시며 23년간 양관(兩館) 대제학을 역임했다. 고향 사랑에도 남달라 장원급제한 도하(都夏, 1418~1479)와 대봉(大峰) 양희지(楊熙止,1439~1504)에게 대구에 내려가거든 후배들을 잘 길러 조정에 진출하도록 하는 일에 힘써 줄 것을 당부했을 뿐 아니라. 대구의 아름다운 10곳을 소위 대구 십영(十詠)이라 하여 시를 남겼으니 제1 영, 금호범주(琴湖泛舟), 제2 영 입암조어(笠巖釣魚), 제3 영 구잠춘운(龜岑春雲), 제4 영 학루명월(鶴樓明月), 제5 영 남소하화(南沼荷花), 제6 영 북벽향림(北壁香林), 제7 영, 동사심승(桐寺尋僧), 제8 영 노원송객(櫓院送客) 제9 영 공령적설(公嶺積雪), 제10 영 침산만조(砧山晩照) 이다.
이 십영을 향토문화자산으로 높게 평가한 대구시는 제1 영은 금호강, 제3 영은 연구산, 제4 영은 금학루, 제6 영은 도동 측백나무숲, 제7 영은 동화사, 제8 영은 대노원, 제9 영은 팔공산, 제10 영은 침산으로 확정하고 표지석을 설치했다.
그러나 제2 영 입암조어(삿갓 바위에서 고기 낚기)의 입암(笠巖)을 실제는 북구 옥산초등학교 부근인데 건들바위로 잘못 비정(比定)하였고, 제5 영의 남소하화(南沼荷花, 남소의 연꽃)의 남소는 천황당못인 데도 성당못 또는 영선못(현, 영선시장 일대에 있었던 못) 이라고 하는 등 확정하지 못했다.
천황당못이 남소인 이유는 첫째 사가(四佳)가 십영을 쓸 당시 대구도호부의 관아(官衙)는 달성(현, 달성공원)에 있었다. 그곳에서 보면 천황당못은 남쪽이기 때문에 남소(南沼)라고 했다.
둘째, 15세기 대구의 못 현황을 알 수 있는 사료로 『경상도속찬지리지 1469』가 있다. 제언(堤堰) 편에 부의 남쪽 감물천리에 성당제(聖堂堤), 남산리에 연화제(蓮花堤), 화산리에 감물삼제(甘勿三堤), 사리동리제(沙里洞里堤) 등 4개소의 못이 있었으나 남소는 없다. 그 까닭은 못 이름“둑” 제(堤)에서 알 수 있다. 기계와 장비가 부족했던 그때 못 만드는 작업은 사람 손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작은 하천이나 골짜기에 둑(堤)을 쌓아 물을 가두는 것이 고작이었다. 따라서 못 이름에 둑 제(堤)를 붙였다. 반면에 남소는 저지대에 자연적으로 물이 고인 늪 즉 소(沼)였기에 제언으로 분류하지 않았다.
셋째 조선 후기 <해동지도>에 남소가 천황당못과 같은 위치에 그려져 있다. 그 후 언젠가 이름이 천황당못으로 바뀌고 1923년 즉 100년 전 마침내 서문시장으로 변신했다. 사가의 시 남소하화“를 보면 당시 천황당못에는 연꽃이 만발한 연지(蓮池)였다.
갓 돋아 난 연꽃은 엽전 포갠 듯하지만, 出水新荷疊小錢
활짝 피면 크기가 배만큼이나 크네 花開畢竟大如船
너무 커서 쓰이기 어렵다고 말하지 말라 莫言才大難爲用
만백성 고질병을 낫게 하리라 要遺沈痼 萬性痊
사가(四佳)는 군자를 상징하는 연꽃을 동전 즉 화폐와 만백성의 고질병을 치료하는 약용식물로 비유했다. 늪지대 남소가 장차 상품을 사고파는 시장(서문시장)과 질병을 치료하는 대구 최초의 근대식 병원(동산병원)이 들어설 것을 예상한 듯했다.
천황당못 소유자 서예가 박기돈
시장 이전은 시설현대화나 거래 활성화가 주목적이 아니었다. 비사(祕史)가 박영규(朴英圭)의 『대구설화(大邱說話)』에 소상하게 나와 있다. 경찰 출신 대구부의 부윤(府尹) 마쯔이(松井信助)는 시장 이전 대상 부지로 천황당못을 점찍어 두었다. 도심지에서 멀리 떨어져 대구 만세운동과 같은 소요사태가 발생해도 동산이 가로막아 진압에 유리하며, 토지 소유자가 비록 국권 회복 등 조선인의 생활향상에 노력하고 있는 인물이라 하더라도 비교적 온건한 회산(晦山) 박기돈(朴基敦, 1873~1948)이어서 협상에 유리하다는 것을 간파한 것이다.
회산은 본관이 밀양으로 서울에서 박문환(朴文煥)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부친이 합천 야로에 방대한 전답을 가지고 있어 그곳으로 이주하여 한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시암(是庵) 이직현(李直鉉,1850~1928)에게 한학을 배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