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구벌 역사 연구'를 연구하다 대구사 연구의 어제와 오늘/이호 지음/블루애드컴 펴냄 | ||||||||||
대구 역사와 문화유산 관련 단행본과 논문을 시대별, 주제별로 정리하고 지은이, 발행연도, 제목, 목차, 발행기관을 소개해 쉽게 구할 수 있도록 했다. 부록으로 대구역사 연표와 문화 유적을 소개해 입체적으로 역사를 볼 수 있도록 했다. 소개하는 각 책이나 논문에 등장하는 생소한 용어나 인물에 대해 각 페이지마다 주해를 달아 전공자뿐만 아니라 시민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점도 특징이다. 대구 지방사 연구를 위한 이론과 동향에 관한 글도 함께 소개해, 대구에 관한 연구가 어디까지 진행됐는지 알 수 있도록 했다. 독자들은 이 책 한권으로 ‘대구사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언제, 어떻게, 누구에 의해 진행됐는지 한눈에 알 수 있다. 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대구인에게 의미 있었던 수많은 사건과 사실, 그리고 그것을 기록하고 연구한 모든 자료를 정리한 목록인 셈이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서지 목록은 700여건. 해방 이후부터 2009년 6월까지 ‘대구사’와 관련해 발간된 거의 모든 논문과 단행본을 대상으로 한다. 경상감영 공원, 1907년 국채보상운동, 1919년 3·1 운동, 건들바위 등 평범한 시민들도 조금은 아는 주제에서부터 신라 신문왕이 도읍을 달구벌로 옮기려 했다는 이야기, 대구의 세시풍속, 대구의 농업 등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수많은 연구자료를 세심하게 소개하고 있다. 비교적 근래의 역사인 대구지역 화교의 경제적 활동, 각 학교의 역사, 대구의 단체, 인물, 사건, 모임, 주요 사건 등을 연구한 자료들도 충실하게 담고 있어 굳이 전문 연구자가 아니더라도 관심을 가질 만하다. 딱딱하지만 의미 있는 이 책을 간행한 사람은 대구문화예술회관 산하 향토역사관 학예 연구사 이호씨다. “문화 유산 행정 업무 공무원으로 근무하면서 시민과 전문가들로부터 향토 역사와 문화 유산에 관한 다양한 질문을 받았습니다. 제가 아는 범위에서 열심히 답했지만 부족한 점이 많았습니다. 대구 향토사와 관련한 연구자료를 소개하는 일목요연한 책자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5년 전, 그 같은 아쉬움으로 시작한 이호씨의 연구는 2년 동안의 본격적인 자료 수집과 정리를 통해 한권의 책으로 결실을 보았다. 개인이 자료를 수집하고 사비 300만원을 들여 제작한 만큼 1쇄는 500권에 불과하다. 지금까지 대구사와 관련한 책이나 논문들이 특정한 목적과 특성에 맞는 연구 자료만 책 말미에 소개하고 있다면, 이 책은 대구를 주제로 거의 모든 연구 자료를 아우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전국을 대상으로 분기별로 간행하는 역사 관련 서지목록인 ‘한국사연구휘보’는 자료의 방대함 때문에 충분히 소개하지 못하는 면이 있는 데 반해 이 책은 적어도 ‘대구사’와 관련해서는 완벽을 기하고 있다. 대구 역사와 문화 유산에 관한 연구목록이 정리돼 단행본으로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인 듯하다. 대구사를 연구하려는 학자나, 대구사에 관심이 있는 시민들에게는 귀중하고 편리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금까지 소홀한 면이 있었던 달성군의 자료도 많이 담고 있어 눈길을 끈다. 지은이 이호씨는 “대구의 정체성과 선인들의 흔적을 찾기 위해 연구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책이 잊혀져가는 대구의 사건, 인물, 주요 자료들을 널리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책은 대구의 역사, 문화 유산과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논저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역사학의 인접 학문인 고고학, 민속학, 서지학 등에 관한 연구 성과와 그에 대한 전반적인 정리는 차차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185쪽, 7천원. 조두진기자 earful@msnet.co.kr Copyrights ⓒ 1995-, 매일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대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앞산, 진짜 이름을 찾아주세요 (0) | 2009.10.05 |
---|---|
문양역과 마천산 (0) | 2009.10.01 |
선덕여왕은 과연 부인사에 유폐(幽閉)되었을까? (0) | 2009.09.28 |
대구를 생명력 있는 도시로 (0) | 2009.09.23 |
이래도… 대구경북 국비 특혜냐?” (0) | 2009.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