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호서원 내 향나무
청호서원 강당
청호서원 전경
모당 선생 휴허비
모당선생 묘도비
대구 사림의 영수 모당 손처눌 선생과 청호서원 향나무
수성구 황금동의 원래 이름은 황청동(黃靑洞)이었다. 그러나 사람이 죽으면 그 혼이 가서 산다는 황천(黃泉)과 발음이 비슷하다하여 1977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한 곳이다.
우방타운에서 동쪽의 청호로를 건너 신천지타운 부근은 아직도 옛 모습이 많이 남아있다.
그곳에는 근접한 거리에 서원이 두 개나 있다. 하나는 덕산서원으로 단종 때의 문신 남은 서섭(徐涉)과 공의 둘째 아들 서감원(徐坎은元)을 기리기 위해 1926년에 건립된 서원이고, 다른 하나는 선조 때에 대구에 퇴계학을 자리 잡게 한 모당 손처눌과 그 외에 사월당 유시번, 격재 손조서, 양제 정호인을 기리기 위해 1694년(숙종 20)에 건립한 청호서원이다. 그러나 오늘 소개하는 분은 모당 손처눌 선생이다.
선생은 아버지 선무랑(宣務郞) 수(遂)와 어머니 한산 이씨 사이에서 1553년(명종 8)에 태어났다. 본관이 안동 일직(一直)인 그가 대구에서 태어난 것은 1500년 전 후 증조부 세경(世經)이 대구의 명문 사족인 달성 서씨와 결혼하여 처가가 있는 이곳에 옮겨 산데 따른다. 선생은 14세 때 아버지 명으로 계동 전경창의 제자가 되었다.
17세에 부인 광주 이씨를 맞았으니 송암 이원경의 딸이다. 1571년(선조 4) 장인 장례식장에서 문상 온 한강 정구를 처음 만났다.
이후 정사철, 곽재겸, 정광천, 김우용, 장현광, 서사원, 이주 등 원근의 선비들과 팔공산, 최정산 등을 다니며 호연지기를 키우고 학문을 연마했다.
임란이 발발하자 낙재 서사원, 태암 이주 등과 임하 정사철을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선생은 수성소모장이 되었다. 그 후 임하가 몸이 불편해 물러나자 낙재가 뒤를 이었다.
선생이 팔조령에 의병 400명을 매복시켜 많은 전과를 올려 대구부 남쪽을 지켰다. 9월 낙재가 상을 당해 선생이 의병장에 추대되었다. 그러나 1593년(선조 26) 선생 역시 아버지가 다음해에 어머니가 돌아가시니 진중에 있을 수 없었다.
정유재란 시에는 달성으로 숨어든 왜적을 크게 무찔렀다. 이에 방백 한준겸이 선생의 공적을 조정에 보고하려고 하였으나 한사코 사양했다.
1599년(선조 32) 전란으로 파괴된 향교를 달성으로 옮겨짓는 일에 앞장섰으며 인근 농민들이 물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황청지를 축조했다.
전란 중 돌아가신 부모님께 예를 다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면서 묘소 아래 집을 짓고 영모당(永慕堂)이라고 했다. 아호 모당(慕堂)은 여기서 비롯된다.
전쟁이 끝나고 어느 정도 시국이 안정되면서 배우러 오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영모당 옆에 산택재와 풍뢰헌을 새로 지었다.
이듬해 충주 목사로 있던 한강이 휴가차 내려오자 찾아가서 인사를 드렸다. 여러 선비들과 임란으로 폐허가 된 연경서원 재건을 의논했다.
1604년(선조 37) 승병대장 사명당이 강화사로 일본으로 가는 길에 들리자 장도를 기원하는 전별시를 지어주었다. 이듬해 선사재에서 한강 선생을 모시고 뱃놀이를 했는데 모인 사람이 70명이나 되었다.
1609년(광해군 1) 태실 상사(上使) 오봉 이호민, 부상사 선원 김상용과 연경서원에서 강회를 열었다. 1611년(광해군 3) 망우당 곽재우가 찾아오고 월곡 우배선이 그의 아들 달하를 데리고 와서 가르침을 청했다.
1624년(인조 2) 이괄이 난을 일으키자 고을 사람들이 선생을 의병장으로 추대했다. 그러나 이괄이 항복함으로 출전하지는 못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역시 고을 사람들이 다시 의병을 일으키고 선생을 의병장으로 추대했다.
이때 선생은 75 세로 나이가 많다고 사양했으나 호소사(號召使) 우복 정경세가 극구 추천해 맡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강화조약이 체결되어 실행되지 못했다. 선생은 탄식하며 ‘비록 평안은 얻었다 하나 맹약이 부끄럽다’하였다. 1634년(인조 12) 돌아가시니 향년 82세였다. 저서로 <모당선생문집>이 있고 대구의 청호서원과 밀양의 혜산서원에 제향 되었다.
선생은 대구에 퇴게학을 전수한 1세대인 계동 전경창과 한강 정구 밑에서 수업하고 두 분이 돌아가시자 낙재 서사원과 함께 대구 사림을 이끌었다.
그러나 낙재 마저 죽자 혼자 대구 사림의 영수로 후학들을 지도했다. <영모당통강제자록>에 의하면 모두 202명이나 된다.
또한 임란, 이괄의 난, 정묘호란 등 3번에 걸쳐 의병장으로 추대되었다.
매화를 좋아해 시를 남겼으나 서원에 매화는 없고 향나무만 겨울 추위에도 푸름을 잃지 않고 있었다. 재일 교포 손정의는 선생의 후손이다.
'나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란 의병대장 낙재 서사원선생과 파산의 소나무 (0) | 2014.03.20 |
---|---|
독립운동가 서재필 박사와 보성 가내마을의 뽕나무 (0) | 2014.03.09 |
한강 정구 선생과 북구 금호지구 한강공원의 섬뫼숲 (0) | 2014.02.19 |
임제 서찬규 선생과 낙동정사 회화나무 (0) | 2014.02.08 |
여류비행사 박경원과 동부교육지원청의 히말라야시더 (1) | 2014.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