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51

스웨덴과 일본(日本) 국왕이 심은 경주문화원의 일본전나무

나무를 공부하면서 얻은 지식은 향교나 서원, 유가(儒家)의 고택 등에 심긴 전나무는 공자가 고향 곡부(曲阜)에 직접 심은 회(檜, 현재 중국에서는 회백(檜柏 또는 원백圓柏 이라고 함) 나무에 빗대 그곳이 어느 곳이든 유학을 공부하는 공간이며 유학자를 상징하는 의미로 심은 것이고. 해인사, 운문사 등 절 주변의 전나무는 대부분 목조로 지은 불당(佛堂)이 화재 등으로 소실되었을 때 복구 자재로 쓰기 위하여 일부러 심은 것으로 알고 있었다. 그런데 박찬우 박사(전, 강원대 연구교수)의 『전나무 노거수는 일제의 신목(神木)이다, 2024, 북랩』를 읽고 큰 충격을 받았다. 저자는 이 책에서 “---전나무 노거수는 일제의 신목이다. ---우리가 알지 못하던 일제의 잔재이다. 전나무 노거수는 사찰, 조선 왕릉, 임..

나무이야기 2025.07.01

오 형제를 대과에 합격시킨 박눌 선생과 상주 이안리 은행나무

오 형제를 대과에 합격시킨 박눌 선생과 상주 이안리 은행나무 자식 농사(農事)라는 말이 있다. 때맞춰 씨앗을 뿌리듯이 제때 공부를 시키고 넘어지면 일으켜 세우며, 알맞게 물과 거름을 주어 낱알을 튼튼하게 하듯 적당한 채찍과 훈육을 통해 인간다운 사람을 만들고자 하는 일이 농사짓는 것과 같이 정성을 들어야 한다는 뜻이다.그러나 작물 농사는 정성을 들인 만큼 소출을 얻는 데 비해 자식 농사는 그렇지 못할 경우가 많다. 따라서 누구나 바라는 일이기는 하지만 쉽게 이룰 수 있는 일이 아니기에 자식 자랑은 아내 자랑과 함께 금기시되어 있다.이러한 관행은 대다수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위한 배려라고 생각된다. 이런 점에서 오 형제를 대과에 급제시킨 자랑스러운 아버지상을 가진 행정(杏亭) 박눌(朴訥, 1448~ 1..

카테고리 없음 2025.06.11

초계변씨 문경 집성촌 산양면 진정리 회화나무

초계변씨 문경 집성촌 산양면 진정리 회화나무 전라도 전주가 본관인 전주류씨, 광주가 본관인, 광산김씨가 안동에, 남평이 본관인 남평문씨가 대구에 뿌리를 내려 오랫동안 집성촌을 이루어 지역공동체와 나라에 공헌한 인물을 많이 배출한 것은 익히 알고 있던 터라 전혀 새삼스럽게 생각하지 않았다.그런데 경남 합천 초계가 본관인, 초계변씨가 문경 산양에 뿌리를 내려 무려 560여 년을 세거해 오고 있다는 사실은 새로 알게 되었다. 초계변씨 대종회의 홈페이지에 의하면 “변씨(卞氏)는 원래 당나라 예부상서(禮部尙書)를 지낸 변원(卞源)이 743년(경덕왕 2) 당 현종의 명(命)으로 8 학사의 한 사람으로『효경(孝經)』을 가지고 신라(新羅)에 온 이후 안사의 난(당나라 절도사 안록산과 그의 부하 사사명이 일으킨 반란..

나무이야기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