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암정의 박태기나무 원경, 박태기나무는 형제간의 우애를 상징한다
4월 답사지로 문경을 택했다. 초계변씨 600년 세거지 미르물 마을의 500여 년 된 회화나무를 보고 주암정, 우암정을 거처 람사르(Ramsar) 습지 협약에 가입한 국내 유일의 돌리네 습지를 보기 위해서다. 모두가 새로운 곳이기에 기대가 컸다. 그러나 그중에서 주암정의 아름다움과 주변에 식재된 박태기나무의 꽃이 활짝 핀 모습이 퍽 인상적이었다.
인천채씨 암재공파 종회의 안내판에 의하면 “조선시대 유학자였던 채익하(蔡益夏) 선조를 기리기 위해 1944년 후손들에 의해 지어진 정자다. 석문구곡 중 제2곡인 이곳 정자 앞으로 흐르는 금천 강가에 기암괴석이 병풍처럼 둘러 있으며 그중 배 모양의 바위가 있어 그 위에 선실(船室)처럼 지었다.
예전에는 바로 밑으로 강물이 흘렀으나 홍수로 인하여 물길이 바뀌고, 제방 공사를 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으며 연꽃과 능소화를 심어 운치를 더하게 한 뒤에는 ----문경의 명소가 되었다. 후손들이 매년 이곳에서 종친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10세 종손(채훈식)이 관리하고 있다.
채익하는 본관은 인천으로 조선조 예종 1년(1469) 21세 때 문과인 관시(館試), 회시, 전시(殿試)에 모두 장원 급제하여 명성을 떨쳤으며 1511년 국내 최초 한글 소설 설공찬전을 저술한 나재(懶齋) 채수(蔡壽)의 6세 손이다.
강희(康熙) 12년(1673)에 생원시에 합격한 성균관 생원으로 학덕을 겸비한 인물로 충의위(忠義衛)--채극명(蔡克明)의 아들이다. 자는 비언((悲彦) 호는 주암(舟巖)이며 1633년 출생하여 1675년에 졸하였다. (2017, 4, 3) ”라고 했다.
이 안내문을 통해서 주암(舟巖)이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소설이라고 알려진 허균(許筠, 1569~1618)의 『홍길동전(洪吉童傳)』보다 더 이전인 1511년(중종 6)에 『설공찬전(薛公瓚傳)』을 지은 문신 채수(1449~1515)의 6세 손이며, 아울러 주암 즉 배 바위가 영조 때 인물인 근품재(近品齋) 채헌(蔡瀗, 1715-1795)이 경영했던 석문구곡(石門九曲) 제2곡으로 18세기에도 이미 명소였다는 사실, 태평양전쟁 끝 무렵 일제의 수탈로 물자가 부족했던 때인 1944년에 후손들에 의해 지어졌으며, 능소화와 연꽃이 피면 경관이 더 아름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근품재가 지은 석문구곡의 제2곡은 다음과 같다.
이곡이라 동쪽에 일월봉이 솟아있고 / 二曲東亞日月峯
두 바위 물에 잠기니 형제의 모습이라. / 雙巖枕水弟兄容
정자 앞의 부벽은 천년이나 되었고 / 亭前浮碧千年久
대숲을 바라보니 푸르름이 몇 겹인가. / 望裏竹林翠幾重
정자를 짓기 200여 년 전 주암과 주변의 풍경이다. 동쪽에는 일월봉이 있고, 두 바위가 물에 잠기면 형제 모습 같았으며, 금천 건너 현, 경체정 부근에는 부벽(浮碧)이 있고 앞에는 대숲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월 중순 찾았을 때 능소화는 물론 연(蓮)도 아직 잎을 내지 않았다. 다만, 산당화와 박태기나무만 꽃을 피우고 있었다. 특히, 박태기나무는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즐겨 심는 나무인 데 반해 산당화는 반가(班家)에는 심지 않았다. 전자는 형제간 우애를 돈독히 한다는 고사(古事)가 있고, 후자는 이른 봄, 화사한 꽃이 여자들의 마음을 혼미하게 하여 바람난다는 속설 때문이다.
박태기나무에 얽힌 고사는 중국 남북조 시대 『이십사효(二十四孝)』 이야기로부터 거슬러 올라간다. 남조(南朝)의 양(梁) 나라(502~557) 전진(田眞)이라는 사람이 부모가 죽고 두 명의 아우 광(廣), 경(慶)과 함께 살았다. 어느 날 분가(分家)를 하기로 하고 재산을 공평하게 나누었다. 그런데 뜰에 있는 박태기 한 그루가 문제였다. 의논 끝에 3조각으로 나누어 가지기로 했다. 다음 날 현장에 도착하자 잎이 시들어버렸다. 이를 본, 형 전진이 두 아우에게 말했다.
“본래 한 뿌리에서 자란 같은 줄기인데 쪼개어 나누려 하겠다는 우리의 말을 듣고 시들어 버렸구나. 우리 3형제가 나무보다 못하구나.”하고 가르기를 그만두자, 다시 예전처럼 활기를 되찾고, 잎도 무성해졌다. 이런 연유로 형제간에 우애를 상징한다. 그래서 선비들이 즐겨 심었다. 영의정 류성룡을 기리는 병산 서원, 영남 오현의 한 분인 정경세(鄭經世) 종택, 조선 후기 유학자 최흥원이 강학하던 옻골마을 동계정 등 모두 형제간의 우애를 강조하기 위해 심었다. 주암정 후손들도 같은 뜻으로 심었을 것이다. 그들의 깊은 속내가 주암정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서양에서는 예수의 12명의 제자 중에서 예수를 팔아먹은 가룟 유다가 목매 죽은 나무라는 전설이 있다. 그가 양심의 가책을 느끼고 목매 죽으려고 박태기나무로 다가가 자 선택에 분노를 느껴 꽃이 붉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성서의 어느 기록에도 없고 단지 이름이 “유다스 트리(Judas tree)”라는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나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녕군(咸寧君) 김요 선생과 금강산 왕송(王松) (2) | 2024.12.28 |
---|---|
도촌 이수형 선생과 이적(異蹟)의 회화나무 (1) | 2024.12.13 |
대구사림의 영수 손처눌 선생과 청호서원 향나무 (0) | 2024.11.04 |
한강 정구 선생과 무흘정사 개비자나무 (2) | 2024.10.01 |
우암(遇庵) 이열도(李閱道) 선생과 선몽대·숲 (0) | 2024.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