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존되어야할 동대구로 히말라야시다 보존되어야할 동대구로 히말라야시다 동대구로의 히말라야시다에 대해 ‘외래수종이다.’ ‘계절감이 없다’ ‘태풍에 잘 넘어 진다’ ‘쇠 지주가 보기 싫다’ 는 등 말이 많았다. 그러나 이렇게 잘 가꾸어진 가로수가 국내 어느 도시에도 없다. 따라서 여론조사에서도 보존하자는 시민이 많아 지.. 대구이야기 2009.10.31
5천년 선사유적 갈아엎나 수성구 파동 용두골 5천년 선사유적 갈아엎나 市, 문화재 지표조사도 제대로 않고 앞산 터널공사 강행 대구 4차 순환도로 공사 구간에 포함돼 있는 대구 수성구 파동 용두골 일대 선사시대 동굴. 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신석기시대 초반 대구 수성구 파동 용두골 일대. 동물가죽 옷을 걸친 석기인들.. 대구이야기 2009.10.29
명물 동대구로 히말라야시다 사라진다 대구 관문 동대구로 1만㎡ 녹지공간 조성 동대구로 대규모 녹지공간 조성 ... 대구 관문도로인 동대구로 동부소방서~상공회의소 구간에 1만㎡ 규모의 '녹지 공간'이 조성되고 서편 분리대에 심어진 '히말라야시더'는 일부 구간에서만 보전된다. 대구시는 동대구로 디자인 개선 사업(파티마병원~범어네.. 대구이야기 2009.10.28
감탄과 흥분 ! 2009 대구수목원 국화전시회 오늘 (10월 27일) 볼일이 있어 대구수목원을 찾았다가 깜짝 놀랐다. 몇 년 전부터 해마다 국화전시회를 개최해 왔으나 이번처럼 많은 양을 다양하게 준비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오는 11월 1일 정식 개장한다고 한다. 꼭 한번 가보시기를 권한다. 대구이야기 2009.10.27
대경권, '5+2' SOC 예산 호남·강원보다 적은 5위 내년예산 전국비중 11.9% 그쳐 ... 고속도로·철도·지하철·항만·공항 등 전국 89개 주요 SOC 사업의 내년도 예산액을 비교 분석한 결과, 대구경북권은 5+2 광역권 중 제주권과 충청권 다음으로 적은 5위에 그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예결위에 최근 제출된 정부의 '2010년도 예산편성안'에 따르면 이들 S.. 대구이야기 2009.10.26
신라 유물 황금보검이 유럽 켈트 王 것이라고? 유석재 기자 karma@chosun.com 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KIST 이종호 박사 색다른 해석 "그리스·켈트 특유의 무늬 있어"TV 사극 '선덕여왕'에서 묘사되는 7세기의 신라는 국제무역 중심지다. 대불림(大拂臨·동로마) 말을 쓰는 서역 상인이 서라벌에 온다. 신라 도박업자는 "여헌국(黎軒國·이집트)도 여왕(클레.. 대구이야기 2009.10.25
'대구의 명동' 향촌동을 아십니까? '대구의 명동' 향촌동을 아십니까? ‘서울에는 명동, 부산에는 남포동, 대구에는 향촌동.’ 우리나라 도심의 역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역들이다. 일제강점기부터 1970년대까지 이들 지역은 도시의 낮과 밤을 좌우했다. 명동과 남포동이 재개발 과정을 거치며 예전의 명성을 회복해가는 데 비하면 향.. 대구이야기 2009.10.22
신천 공룡발자국 문화유적지로 부활"…공간디자인 공모 "신천 공룡발자국 문화유적지로 부활"…공간디자인 공모 동신보 상류 일대 57개나 발견 /박재일기자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대구시가 신천 공룡발자국 발견지 일대를 창의적인 문화유적지 공간으로 재탄생시키기 위해 시민들을 상대로 공간 디자인 모집에 나섰다. 대구시는 신천 동신보 상류 공룡발.. 대구이야기 2009.10.20
앞산 둘레 '평평한 숲길' 잇기로 앞산 둘레 '평평한 숲길' 잇기로 市, 달비골∼큰골∼용두골 15㎞ 자락길 내년 조성 대구에도 산자락을 둘러 걷는 ‘자락길’이 생긴다. 지리산에 개설 중인 ‘둘레길’이나 전라북도가 추진 중인 ‘에움길’ 등과 유사하고, 제주도서 인기를 얻는 ‘올레길’과 일맥상통하는 ‘마실길’의 성격도 가.. 대구이야기 2009.10.17
백두대간 고산수목원’ 봉화 춘양 확정 ‘백두대간 고산수목원’ 봉화 춘양 확정 산림 기반 최적…세계적 수목원 키운다 백두대간의 생물자원을 보존하고 산업화하기 위한 국립 백두대간 고산수목원 건립 사업은 현재 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심사를 통과, 내년부터 사업비 2천560억원을 들여 춘양면 서벽리 문수산과 옥석산 일대 5천ha에 본.. 대구이야기 2009.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