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이야기

[大邱十景] ②입암의 낚시(笠巖釣魚)

이정웅 2009. 4. 19. 06:22
[大邱十景] ②입암의 낚시(笠巖釣魚)
 
 
 
▲ 해동지도에 나타난 대구부(18세기 중엽), □안이 '입암'이다.
안개비 부슬부슬 연못에 가을 드니,

낚싯대 드리우고 홀로 앉아 아득히 생각하네.

미끼 아래 작은 고기 제법 있으나,

금자라 낚지 못해 쉴 수가 없구나.

    --------서거정의 笠巖釣魚

 

 

'입암조어'는 신천변에 있었다고 전해지는 삿갓바위에서 가을날 안개비가 내리는 가운데 신천 하식애(강가 바위절벽) 아래 소(沼)에서 이뤄지는 낚시를 소재로 하고 있다. 입암, 안개비, 가을, 낚싯대, 금자라 등으로 여유와 외로움이 공존하는 정서적 감흥을 잘 나타내고 있다.

입암(笠巖)은 ‘삿갓바위’를 이르는데, 대구시는 생뚱맞게도 건들바위로 주장하고 있어 안타깝다. 건들바위는 원래 조선시대 대구부 하수서면 입암리(동변 입암리, 서변 입암리)라는 행정지명의 유래가 되는 바위로, 삿갓바위가 아니라 단순히 선바위란 의미의 입암(立巖)이다.

 

18세기 중엽 제작된 해동지도를 봐도 입암의 위치는 대구 감영의 남쪽에 있는 건들바위와는 다른 대구 감영의 북동쪽 신천변에 위치한다. 건들바위는 그냥 일자로 서 있는 선돌에 불과하다. 삿갓바위는 바위 상부가 삿갓 같은 모양이다. 경상도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등 고문헌에서는 입암을 유성이 떨어져 돌이 된 운석으로 이뤄졌다고 한다. 매우 단단한 돌이라는 것. 그런데 건들바위는 풍화가 진전된 약한 퇴적암으로 구성돼 이에 맞지 않는다.

입암은 지난 시절 개발의 과정에서 사라지고 없다. 경대교에서 신천 상류 쪽(북구 대현2동)에 높이 약 10m 규모의 갓 모양을 한 바위가 존재했다고 전해진다. 70여 년 전 신천 범람을 막기 위해 강변 정비공사 중 다이너마이트로 폭파해버려 사라졌다는 것.

대구에는 훌륭한 문화지형이 더러 있었으나 무관심과 무지로 인해 많이 사라져버렸다. 세계는 바야흐로 문화전쟁 시대라 할 만큼 자국의 문화자원에 대한 발굴과 보존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북구 연경동 화암(畵巖)에서 보듯 그나마 남은 중요 문화지형조차 방치하고 있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전영권 대구가톨릭대 지리교육학과 교수

Copyrights ⓒ 1995-, 매일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2009년 04월 18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