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47

팔공산의 깃대종

산을 비교하는 데 있어 어떤 사람은 경관이 우수한 산을, 어떤 사람은 면적이 넓은 산을 제일로 평가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의견을 달리한다. 그 산이 가지고 있는 역사와 문화, 지역사회나 나라에 끼친 영향, 인간에게 주는 교훈 등 다방면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본다. 이런 의미에서 나는 팔공산이 전국 제일의 명산이라는 생각을 유지하고 있다. 비록 다 이루지는 못했지만, 한때 골짝 골짝마다 발자국을 남기려고 했었다. 고란초(皐蘭草), 공산성 유지(遺址), 제천단(祭天壇) 터를 발견한 행운은 그 결과의 산물이다. 1987년 대구시 팔공산자연공원관리사무소가 발족할 때 보호계장을 자원하여 근무한 것도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현재 나이가 팔순이라 걷기는커녕 등산이 힘들고 또한 세월이 흐르다 보니 팔공산을 사랑하는..

대구이야기 2024.04.07

추사 부자(秋史父子)의 현판이 걸려 있는 분옥정과 소나무

포항시 기계면 봉계리는 신라 왕손인 경주 김씨 “치동문중(致洞門中)”의 집성촌이다. 입향조 일암(逸庵) 김언헌(金彦憲)이 청도에서 이곳으로 들어와 울창한 산림을 손수 벌채하고 터전을 잡고 벌치동(伐致洞)이라 했다고 한다. 그러나 벌 자의 어감이 거칠게 느껴져 치동(致洞)이라 불러 오늘에 이른다. 그때가 1636년(인조 14) 일암의 나이 27세 되던 늦가을이었다. 윗대는 충청도에 살았다. 연산, 중종 조에 전라도 관찰사, 대사헌, 이조참판을 지내고 문간(文簡)으로 시호를 받은 십청헌(十淸軒) 김세필(金世弼, 1473~1533)이 그의 고조이다. 그러나 이후 걸출한 인물을 배출하지 못하다가 그나마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가세가 많이 기울어졌다. 따라서 사헌부 집의를 지낸 아버지 김업(金嶪)이 가족을 이끌고 청..

카테고리 없음 2024.03.13

반려견 망고를 보내며

10여 년 함께 했던 반려견 망고를 보낸 하루 너무 우울했습니다. 그와의 이별을 졸시로 표현 해 보았습니다. 반려견 망고를 하늘 나라에 보내며 칠곡으로 이사와서 봄, 여름, 가울 겨울을 너와 함께 팔거천변과 매천공원을 거닐며 너무 행복했다. 꽃 피는 봄에는 꽃을 보며 한 여름에는 시원한 그늘에 앉아 가을이면 단풍이 물든 공원을 거닐며 겨울에는 뚜꺼운 옻을 입고 눈밭을 거닐며 언제나 너는 기쁨을 주었다. 낯에는 거실에 놀다가 밤이되면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미미는 엄마방에 너는 내 방으로로 와서 잠자리를 함께 했다. 내 인생 후반의 10년을 너와의 사랑으로 보냈다. 하늘나라에서 다시 만나자 2024, 3,7 너를 사랑하는 아빠가

심원단상 202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