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돈 선생 송덕비 발견 전말 천주교 대구교구청 내 서상돈선생 상 서상돈 선생이 심은 히말라야시더 칠곡향교 내 서상돈 선생 송덕비 매일신문 보도(2013) 서상돈 선생 송덕비 발견 전말 배석운, 한영기 등 칠곡 토박이 몇 분들의 권유로 ‘팔거역사문화연구회’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팔거(八莒)는 대구지역의 칠.. 대구이야기 2014.10.09
칠곡향교의 연혁 고(考) 칠곡향교의 연혁 고(考) 대구광역시에는 칠곡향교를 비롯해 대구향교, 현풍학교 등 세 개의 향교가 있다. 그러나 세 향교 모두 건립연도가 정확하지 않다. 오랜 세월과 잦은 전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체계적으로 문서를 관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칠곡향교 대성전 대구향교의 경우.. 대구이야기 2014.05.13
아산 김우경님의 작품 전시회 아산 김우경님의 작품 전시회가 남평문씨 본리 세거지 광거당에서 5월 16일(금) 까지 열립니다. 유서 깊고 아름다운 건물, 광거당도 볼만하지만 선생님이 각고의 노력 끝에 완성한 작품들이 볼 만합니다. 작가 약력 영남대학교 음악댁학 졸업 , 1991년 대한민국 서예대전 입선 , 2012 제1회 개.. 대구이야기 2014.05.06
저평가주, 대구 저평가주, 대구 주식투자의 성공 비결은 좋은 주식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것이다. 그래서 주식시장에서는 실제 가치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받고 있는 저평가(低評價) 주식을 발굴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대한민국 도시를 주식시장에 빗대자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저평가.. 대구이야기 2014.01.15
대구 3.1운동의 주역 이만집 목사와 남산교회 백합나무 남산교회 정문앞에 있는 백합나무 가을에 노란 단풍이 들기 때문에 옐로 포플러라고도 한다. 2014년 설립 100주년을 맞는 남산교회 대구YMCA 전신 교남 YMCA 건물 멸실될 위기에 처했으나 시민의 성금과 대구Y, 중구청이 노력해 보전했다. 대구 3.1운동의 주역 이만집 목사와 남산교회 백합나.. 대구이야기 2013.12.24
현제명과 노래비 현제명과 노래비 현제명 선생의 노래비 건립 문제가 논란을 일으키고 있어 안타까운 생각이 든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현석(玄石`현제명의 아호)은 누가 뭐라 하더라도 우리나라 음악계의 대부이자 우리 대구의 자랑이다. 논란의 핵심은 그의 친일 행적과 빗돌의 설치 위치인 것 같다. 현.. 대구이야기 2013.12.21
한반도를 지키는 9마리 용이 사는 호미곶의 구룡소 경북 포항시 호미곶면 대동배리 앞 바닷가에는 아홉마리 용이 사는 구룡소가 있다. 일찍부터 영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기우제를 지내기도하고 풍어제를 지내기도 했던 곳이다. 특히 태고적부터 깎여져 자연이 만들어 낸 반도지가 있다. 9마리 용이 한반도를 지키고 있는 듯 하다. 대구이야기 2013.07.30
판관 서유교와 금호강 돌다리 판관 서유교와 금호강 돌다리 매천대교가 생긴 이후 지금은 달라졌지만 그 이전 시내에서 칠곡으로 오려면 반드시 건너는 다리가 금호강을 가로지르는 팔달교다. 이 다리 칠곡 쪽의 오른 편 끝에 잘 정비된 조경지가 있고 그 가운데 ‘바르게 살자’라고 쓰인 모 단체가 세운 돌비가 있.. 대구이야기 2013.07.07
향산구로회와 구로정 향산 구로회와 구로정 향산의 유래 동구 도동 측백나무 숲(천연기념물 제1호)이 있는 산을 향산(香山,160,1m)이라고 한다. 식물에 대한 분류가 오늘날처럼 체계화되지 아니하였을 때 향나무와 측백나무를 따로 구분하지 아니고 향나무로 불렀기 때문이다. 이점은 느티나무나 회화나무를 한.. 대구이야기 2013.06.09
이춘호기자의 '나그네 소풍 가는날' 영남일보 이춘호기자가 주관한 2013, 5,4일 앞산 매자골 솔밭에서 개최된 '나그네 소풍 가는날'의 이모저모 모처럼 즐거운 하루였다. 대구이야기 2013.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