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의 명가 호수종택 조선(朝鮮) 광해군(光海君) 5년(1613)에 해남현감(海南縣監) 정호례(鄭好禮)가 工자형으로 건립한 전통적인 양식의 한국식 건물이다. 정호례 현감은 선조(宣祖) 25년(1592)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병을 일으켜 영천(永川)에 침입한 왜적을 격퇴하는 등 곳곳에서 전공을 세운 의병장 정세아(.. 대구이야기 2012.10.16
제93회 전국 체전 성화 팔공산 제천단에서 채화 신라 5악 중 중악인 팔공산은 신령스러운 산이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세종 시 지방수령으로하여금 행해하게 한 후 중단된지 어언 500여 년 필자가 제천단을 발견한 11년째 비로소 정부기관에서 제사를 지내며 제93회 전국체전이 잘 치뤄지.. 대구이야기 2012.10.06
1년에 4월 초파일 단 하루만 문을 여는 희양산 봉암사를 가다 봉암사역사 ..▶ 봉암사 창건 ..봉암사는 지금부터 약 1100여년전 신라 헌강왕 5년에 _지증국사께서 창건한 고찰로서 선종산문인 구산선문의 일맥인 희양산문으로 그 사격이 매우 당당하다. 당시 이곳은 신라 문화의 정수인 선풍을 크게 일으켜 구산선문 가운데 희양산파의 주봉을 이루었.. 대구이야기 2012.10.04
팔공산 정상에 메아리 친 개천절 노래 단기 4345년 개천절행사가 팔공산문화포럼 홍종흠회장을 비롯한 각계 대표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해 개최되었다. 오랜만에 개천절 노래를 불러보았다. 대구이야기 2012.10.03
영천의 명가 매산고택과 산수정(중요민속문화재(제24호) 매산고택 솟을 대문 사랑채 안채 전경 사철나무 산수정 산수정현판 풍수지리학상 좋은 터에 자리 잡고 있는 이 집은 '매산 정중기'(1685∼1757) 선생이 짓기 시작하여 둘째 아들 '정일찬'이 완성하였다고 한다. 대문채·안채·사랑채·사당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문을 들어서면 전형적인 .. 대구이야기 2012.10.03
영천정용준씨가옥 (永川鄭容俊氏家屋) 종 목 중요민속문화재 제107호 명 칭 영천정용준씨가옥 (永川鄭容俊氏家屋)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면적 일곽 지정(등록)일 1979.12.31 소 재 지 경북 영천시 임고면 선원연정길 49-10 (선원리)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정대준 관리자(관리단체) 정대준 영천.. 대구이야기 2012.09.30
상주 은척지역 답사 태풍이 온다는 이야기를 듣고 출발했지만 종일 구름이 끼어 오히려 즐거운 답사가 되었습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사료가 남아 있는 동학교당과 성주봉 휴양림, 수세가 아직도 왕성한 300년생 뽕나무, 큰 은행나무, 나옹화상과 이곡이 심었다는 느티나무를 보면서 유익한 시간이 되었습.. 대구이야기 2012.09.16
태풍을 이겨 낸 국내 최고령 사과나무 대구시 동구 평광동에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1935년도에 심은 사과나무 (홍옥)가 있다. 이번 가을 두 차례의 태풍으로 전국적으로 사과나무의 피해가 컸으나 80 노령을 꿋꿋이 이겨내고 탐스럽게 익어가고 있다. 국내 최고령 사과나무 빨갛게 익어가는 열매 최고령 표지판 꿋꿋한 줄기 .. 대구이야기 2012.09.01
지장도량 팔공산 북지장사 북지장사 북지장사는 신라 소지왕 7년(485) 극달화상이 세웠다고 전하는 절이다. 동화사 말사이나, 창건년도가 소지왕 15년(493)인 동화사보다 빨라 동화사를 짓기 전 이곳에 먼저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중심 법당인 대웅전(보물 제805)로 조선 인조 원년(1623)에 지은 건물로 원래 극락전 .. 대구이야기 2012.08.28
목은 이색의 탄생지 영덕 괴시마을 괴시리의 유래는 고려(高麗) 말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중국 사신으로 다녀와서, 태어난 이곳 호지촌(濠池村)의 지형이 중국 구양현의 마을 괴시와 흡사하다 하여 괴시(槐市)라 하였다고 한다. 고려 말(1260년경) 함창김씨(咸昌金氏)가 입주하여 세거(世居) 했다고 하며, 그 뒤 16세기인 명.. 대구이야기 201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