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 전 대통령이 어머니와 함께 심은 구미 생가의 감나무 박정희 대통령 존영 생가 홍보판에서 전사 1929년 박정희 대통령이 12살 때 어미니 백남의 여사와 함께 심은 감나무 올해는 감이 더 많이 열린 것 같다. 찾을 때 마다 관리인에게 잘 가꾸라고 하였다고 한다. 생가 태어나서 1937년 대구사범학교 졸업할 때까지 살았다고 한다. 박정희 대통령.. 나무이야기 2018.10.28
대문과 담장이 없는 소론의 영수 명재고택의 살구나무 공자가 제자를 가르쳤던 행단을 싱정하여 심은 살구나무 명재고택의 전경 노론의 감시로부터 자유롭기 위해 아예 대문과 담장을 없애버렸다. 명재 고택의 사랑채 고택 우물가의 향나무 전통적으로 우물가에는 향나무를 많이 심었다. 차를 즐겨 먹기위해 뒤안에 심어 놓은 차나무 제주나.. 나무이야기 2018.10.25
옥산 이우선생과 구미 매학정 매화나무 근래 심은 것으로 보이는 매화나무 초성 황기로가 건립하여 사위 이우에게 물려 준 매학정 매학정의 원경 1983년대의 매학정 일대 청송인 영의정 심회가 양머니를 위해 시묘했던 바위 시묘암 보천탄 주변 최근에 조성한 수변 공원, 매화숲으로 조성하여 매학정의 유래를 살리지 못한 것이.. 나무이야기 2018.10.05
충장공 김덕령장군과 충효동 왕버들 충장공 김덕령장군이 심었다고 전해 오는 왕버들(천연기념물 제 539호) 원래 5그루 였으나 현재 3그루만 남아 있다. 충장사 정문 충용문 충효동정려비각(광주시 기념물 제4호) 충효동정려비각 안에 보전되어 있는 빗돌(전면) 왕버들 안내판 충장공 김덕령장군과 충효동 왕버들 공자 등 많.. 나무이야기 2018.09.30
칠곡부사 남궁억선생과 나라꽃 무궁화 독립운동가, 교육자, 언론인, 종교인, 역사학자, 관료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온몸으로 국권회복에 앞장섰던 한서 남궁억 상 한서 남궁억 기념관 주변에 조성된 무궁화 동산 한서 남궁억의 묘소 황성신문 사장 , 성주목사 등 다양한 직함이 있으나 칠곡부사를 묘비명으로 썼다. 한서 남.. 나무이야기 2018.09.11
독림가 문의순과 아홉산숲 관미헌의 칠곡 은행나무 아홉산숲을 조성한 문의순이 처가인 경북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에서 열매를 가져와 싹을 틔었다는 종택 관미헌 앞뜰의 은행나무 경북 칠곡군 기산면 각산리 은행나무 아홉산숲 관미헌의 은행나무는 이 나무의 열매에서 싹이 나서 자란 것이다. 즉 관미헌 은행나무의 모수이다. 아홉산숲.. 나무이야기 2018.07.30
문정공 하서 김인후선생과 필암서원 향나무 필암서원 동재 후원의 향나무 공자가 심은 회(檜)나무를 고증하여 심은 것 같기도 하다. 필암서원 확연루 우암 송시열의 글씨이다. 필암서원 강당 청절당 당호는 동춘당 송준길이 썼다. 강당 뒤편의 은행나무 유학을 공부하는 공간 즉 행단이라는 것을 상징한다. 중국 곡부 공자 사당 대.. 나무이야기 2018.07.22
고봉 기대승선생과 월봉서원의 감나무 월봉 서원 강당 앞의 감나무 감나무는 오덕을 갖춘 예절지수라는 별칭이 있다. 월봉서원 강당 빙월당 (광주시 기념물 제9호) 월봉 기대승 선생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 숭덕사 고봉선생문집을 보관하고 있는 장판각 월봉서원 연혁과 고봉 기대승선생의 행장 등을 기록한 묘정비 고봉 .. 나무이야기 2018.07.16
한국 최초의 사과나무 2세목 고사(枯死) 동산의료원 설립자 존슨이 미국 미조리주에서 가져와 대구에 심은 사과나무 2세목 살아 있을 때의 모습 2018, 6월 고사된 상태의 2세목 고사목의 수관 온통 잎이 붉게 말랐다. 대구수목원의 장원도 계장이 2세목에서 삽수를 채취해 생산한 접목묘 즉 3세목 존슨 선교사의 부조 한국 최초의 .. 나무이야기 2018.06.16
여헌 장현광선생과 남산고택의 회화나무 여헌 장현광 선생 좌상(일부) 여헌 선생이 심은 회화나무 임란으로 집이 소실되자 제자 장경우와 친척들이 1606년 (선조 39)에 지은 모원당(경북 문화재자료 제390호) 여헌 종가 남산고택 종가 내 여헌 사당 여헌 장현광선생과 남산고택의 회화나무 조선왕조 500여 년 중 백성들이 가장 고달.. 나무이야기 2018.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