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석빙고 이야기 대구 석빙고 이야기 대구에는 2개의 석빙고가 있었다. 하나는 현존하는 “달성 현풍 석빙고(보물 제 673호)”로 1730년 (영조 6)에 만든 것이고 다른 하나는 1713년(숙종 39) 대구 판관 유명악(兪命岳, 1713~1716년 재임)에 의해 만든 석빙고이다. 현풍 석빙고보다 17년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다. 그.. 대구이야기 2020.03.09
대구의 자랑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 20, ,2, 27 국보 제330호로 승격된 대구 경상감영 측우대(현재 서울 소재 기상청에 있음)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 -투겁창 및 꺾창 (국보 제137-2호, 현재 서울 모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음)) 부인사 초조대장경, 초조본 대반야바라밀다경 권 249(국보 제241호, 현재 경기도 소재 모 박물관 소장 ) .. 대구이야기 2020.03.02
양잠산업(養蠶産業)의 선구자 서상돈(徐相敦) 천주교 대구교구청 내 서상돈 상 북구 읍내동 칠곡향교 내 서상돈 송덕비 양잠산업(養蠶産業)의 선구자 서상돈(徐相敦) 서상돈(徐相敦, 1851~1913) 선생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이다. 2020년부터 “대구시민의 날”도 그가 주도하여 1907년 2월 21일 북후정(.. 대구이야기 2020.02.25
대구 시민의 날 변경과 정체성 찾기 사진, 경상감영의 정청(政廳) 선화당 즉 감사가 집무를 보던 곳 대구시가 현재의 대구시민의 날 10월 8일을 국채보상취지서를 발표한 2월 21일로 바꾸려고 한다. 일응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날씨가 추워 많은 시민들이 참여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대구발전의 획기적인 게기가 된 .. 대구이야기 2019.10.02
2019년 9월 27일 오후 08:14 뀌뚜라미 나이가 들어 그런지 새벽녁에 잠이 깰때가 있는데 티비를 켤까하다가 그대로 누웠다 화장실 쪽에서 뀌뚜라미 우는 소리가 요란하다. 8층 아파트 풀 숲에 있을 저 미물이 어떻게 이 높은 곳에 왔을까 자연은 기적의 연속이지만 이런 기적도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하니 더 경외스럽.. 대구이야기 2019.09.27
국민화가 이중섭과 대구 국민화가 이중섭과 대구 들어가는 말 국민화가 또는 천재 화가로 불리는 대향(大鄕) 이중섭(李仲燮, 1916~1956)의 인생역정은 그야말로 파란만장하다. 평안남도 평원의 부유한 집안에 태어난 그는 당시로서는 어려웠던 일본 유학을 마친 엘리트이다. 그는 오히려 해방되지 않았다면 더 행복(.. 대구이야기 2019.09.12
국립신암선열공원의 추억 2020 국립신암선열공원의 추억 독립지사 단일 묘역으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52위 (서훈자 48위, 미서훈자 4위)의 영령이 모셔진 곳이자 국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가 유일하게 조성 관리해왔던 신암선열공원이 2018년 5월 1일 국립신암선열공원으로 승격되었다. 1955년 남구 대명동 시립공동.. 대구이야기 2019.01.22
2.28민주운동기념동산 유래 대구의 청년학생들이 자유당 독재정권에 항거한 민주화 운동을 기념하는 2, 28민주운동기념관 경북도청 모형도 옆의 회화나무 밑에서 선언문을 낭독했다. 참여학교 교목을 주제로 조성한 2, 28민주운동 기념동산 기념표석 2.28민주운동기념동산 대구시 중구 2. 28길 9번지에는 2. 28민주운동.. 대구이야기 2018.06.14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의 자라바위 조형물 설명문 수정이 필요하다 대구시민안전테마파크의 자라바위 조형물 설명문 수정이 필요하다 2003년 대구지하철 중앙로역 화재사고로 192명이 희생되었을 때 전국의 많은 풍수가들로부터 한 지적이 있었다. 대구는 앞산이 불꽃형상을 하고 있어 화기(火氣)를 머금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제압하기 위해 오래전에 연구.. 대구이야기 2018.05.31
<금호강 선유 및 누정문학> 발간 <금호강 선유 및 누정문학> 발간 우리대구의 동쪽에서 흘러내려 서쪽 낙동강에 유입되는 연장 42Km의 금호강에 대하여 많은 시민들이 대구의 마지막 남은 오픈 스페이스 정도로 인식하고 있다. 또 안심습지와 연꽃단지, 동촌유원지, 하중도·섬들 등 몇 몇 명소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 대구이야기 2017.12.13